본문 바로가기

인간성장론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2

11) 정보제공

 정보제공과 충고하는 것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충고는 자기가 판단한 어떤 의견을 주는 것이지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대상자의 적절한 선택과 결정을 돕기 위하여 상담자가 알고 있는 지식을 대상자에게 꼭 필요한 경우나 그것을 대상자가 따르지 않으면 곤란할 경우에 알려주는 것이다. 병원 규칙, 식이, 투약, 검사를 위한 지시사항 등이 포함된다.

(예) "그 약은 환청이 ㄷ르리는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물이지만 과복용하시면 부작용이 따르니 주의하세요."

 

12) 요약

 요약은 대상자가 말하는 내용의 초점을 압축해서 주제를 명확하게 하는 기법으로 면담 중 간호사가 파악한 내용을 대상자에게 회환(feedback)해주는 것이다. 요약은 때때로 대상자의 진술과정에 대해서 언급함으로써 현재의 대화, 또는 관계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가장 중요한 문제를 강조하여 대상자와 함께 요약함으로써 대상자 자신이 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있고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어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여기게 된다. 

 

 

13) 공감

 공감은 상담자가 대상자의 말을 들으면서 말 속에 담겨 있는 기분이나 감정을 그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즉 상담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대상자의 입장에서 보면 대상자가 왜 그런 말과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있다. 공감을 잘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해한 것을 말로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예) "내일 시험이 있는데, 감기가 들어서 시험공부를 제대로 못해 걱정이 많겠구나."

(예) "공과금이 너무 많이 나와서 못냈어요." "아 공과금이 너무 많이 나와 전기가 끊겼겠군요. 걱정마세요."

+대상자를 역지사지로 생각해보는 것

 

14) 유머

 유머는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한 감정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자기느낌을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건설적인 유머는 의사소통의 장벽을 깨는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이다. 대상자는 두려움이나 곤혹스러움 감정을 농담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농담이나 유머는 사람들을 기분좋고 가깝게 해주어 부담스러운 인간관계를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나 두려움, 걱정을 일시적으로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의심이 많고 망상이 있는 대상자는 유머를 개인적인 공격으로 오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인간성장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같던 2년 연애사  (0) 2022.01.31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법1  (0) 2022.01.27